순환매식으로 테마에 따라 상승하는 코인들이 빠르게 바뀌고 있습니다.
'김치코인 '은 주로 국내에서 개발되었거나 국내 거래소에서 거래량이 집중되는 암호화폐를 지칭합니다. 이러한 코인들은 글로벌 시장보다 국내 거래소, 특히 업비트에서 거래량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엠블(MVL)의 경우 전체 거래량 중 업비트에서 약 85.7%, 빗썸에서 약 9.63%가 이루어져, 국내 거래소에서 총 95% 이상의 거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디카르고(DKA)는 전체 거래량의 약 70.87%가 국내 거래소에서 발생하며, 밀크(MLK)는 약 58.52%가 국내 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김치코인들은 국내 투자자들 위주로 수급이 형성되고 있다보니 거래량과 가격 변동성이 높아 투자 시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또한, 김치코인 중 일부는 시세 조종 의혹이 제기되기도 하므로, 투자에 앞서 충분한 정보 수집과 분석이 중요합니다.
어떤 게 김치코인이야?
1. 엠블(MVL)
- 기반: 이더리움(Ethereum)
- 특징: 차량 데이터 및 모빌리티 생태계를 지원.
2. 디카르고(DKA)
- 기반: 이더리움(Ethereum)
- 특징: 물류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
3. 밀크(MLK)
- 기반: 이더리움(Ethereum)
- 특징: 포인트 통합 및 교환 플랫폼.
4. 메디블록(MED)
- 기반: 메인넷 기반(메디블록 자체 메인넷)
- 특징: 의료 데이터 관리 블록체인.
5. 아이콘(ICX)
- 기반: 아이콘(ICX) 자체 메인넷
- 특징: 블록체인 간 상호 운용성을 제공.
6. 스트라이크(STRK)
- 기반: 이더리움(Ethereum)
- 특징: DeFi 서비스 중심.
7. 보라(BORA)
- 기반: Klaytn(클레이튼)
- 특징: 게임 및 콘텐츠 생태계 지원.
8. 플레이댑(PLA)
- 기반: 이더리움(Ethereum)
- 특징: NFT 및 게임 아이템 거래 지원.
9. 애니버스(ANV)
- 기반: Klaytn(클레이튼)
- 특징: 애니메이션 콘텐츠 관련 블록체인.
10. 베라시티(VRA)
- 기반: 이더리움(Ethereum)
- 특징: 디지털 광고 및 스트리밍 생태계 강화.
11. 코박토큰(CBK)
- 기반: 이더리움(Ethereum)
- 특징: NFT 및 디지털 자산 중심 플랫폼.
12. 트웰브쉽스(TSHP)
- 기반: 이더리움(Ethereum)
- 특징: GPU 채굴 생태계 지원.
13. 지타입(GXA)
- 기반: 이더리움(Ethereum)
- 특징: 데이터 보안 및 소유권 관리.
14. 피르마체인(FCT)
- 기반: 이더리움(Ethereum)
- 특징: 디지털 문서 관리와 스마트 계약.
15. 에이프로빗(APR)
- 기반: 이더리움(Ethereum)
- 특징: 한국 기반 거래소 토큰.
16. 피오렛토큰(FIO)
- 기반: FIO Protocol 자체 메인넷
- 특징: 간단한 지갑 주소 표준화를 제공.
17. 센티넬프로토콜(UPP)
- 기반: 이더리움(Ethereum)
- 특징: 보안 위협 데이터 및 사이버 보안 솔루션.
18. 픽셀(PXL)
- 기반: 이더리움(Ethereum)
- 특징: 디지털 콘텐츠 및 광고 생태계 지원.
19. 웨이브코인(WAVES)
- 기반: Waves 자체 메인넷
- 특징: 스마트 계약 및 디지털 자산 발행.
20. 람다(LAMB)
- 기반: 이더리움(Ethereum)
- 특징: 분산형 데이터 스토리지.
정리
- 이더리움(Ethereum) 기반:
- 다수의 프로젝트가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스마트 계약과 상호 운용성을 지원.
- 예: 엠블(MVL), 디카르고(DKA), 밀크(MLK), 스트라이크(STRK), 센티넬프로토콜(UPP).
- Klaytn(클레이튼) 기반:
- 주로 한국 프로젝트들이 채택하며, 콘텐츠 중심.
- 예: 보라(BORA), 애니버스(ANV).
- 자체 메인넷 기반:
- 프로젝트 전용 블록체인을 운영하며, 독립적인 생태계를 구축.
- 예: 아이콘(ICX), 메디블록(MED), 웨이브코인(WAVES), 피오렛토큰(FIO).
김치코인인지 확인법
코인마켓캡( 오늘자 100대 암호화폐 가격 및 정보 | CoinMarketCap | 코인마켓캡 )에서 코인티커 검색하시면 거래소별 거래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