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한국시간 오후 7시에 바이낸스에서 BIO(바이오프로토콜)코인이 상장되었습니다.
게이트아이오, 비트겟 거래소에서도 오늘 같이 상장이 되었는데요 어떤 코인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바이오프로토콜(BIO)은 바이낸스의 63번째 런치풀 프로젝트로 선정되어, 2024년 12월 24일부터 10일간 BNB와 FDUSD를 스테이킹하여 BIO 토큰을 획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상장 일정:
- 상장 일시: 2025년 1월 3일 19시(한국 시간)
- 거래 페어: BIO/USDT, BIO/BNB, BIO/FDUSD, BIO/TRY
요즘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의 활용이 기존의 금융과 기술을 넘어 다방면에 적용되고 있는데요, 이제는 바이오텍(Biotech) 산업까지 확장되고 있습니다. BIO는 바이오 산업과 탈중앙화 과학(DeSci)을 결합하여 바이오텍 혁신을 주도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 + DeSci 라니 AI와 더불어 주목해야 할 트렌드인 것 같습니다.
BIO 코인 개요
- 프로젝트명: 바이오프로토콜 (Bio Protocol)
- 심볼: BIO
- 출시 연도: 2024년 12월
- 목적: BIO는 환자, 과학자, 전문가가 참여하는 탈중앙화 과학 커뮤니티(bioDAO)를 통해 바이오 프로젝트 및 지식재산(IP)에 대한 자금 조달, 구축, 소유를 가능하게 합니다.
- 기술 특징:
- 탈중앙화 과학(DeSci)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바이오 데이터 공유.
- 과학 연구와 개발에 필요한 자금 조달 및 관리 지원.
- 바이오텍 분야의 혁신적인 프로젝트 자금 지원.
BIO 코인의 유통량 및 시가총액
- 총 발행량: 3,320,000,000 BIO
- 유통량: 초기 유통량 1,296,529,168 BIO (총 발행량의 약 39.05%)
나머지 토큰은 커뮤니티(56%), 핵심 기여자(21.2%), 투자자(13.6%), Molecule(5%), 자문단(4.2%)에게 배분됩니다.
또한, BIO 토큰은 최대 공급량이 무제한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는 BIO 거버넌스 기구의 투표를 통해 결정됩니다.
- 시가총액: 2025년 1월 기준 약 1억 달러 (초기 상장 시)
- 순위: 102위
- 나머지 락업 일정:
- 핵심 팀 및 투자자: 1년의 절벽(cliff) 기간 후, 6년에 걸쳐 선형적(linear)으로 베스팅(vesting)됩니다.
- bioDAO 및 제네시스 멤버: 1년의 절벽 기간 후, 6년에 걸쳐 선형적으로 베스팅됩니다.
이러한 락업 및 베스팅 일정에 따라 약 6년 동안 핵심 팀과 투자자들의 토큰이 점진적으로 시장에 유입될 예정입니다.
개발팀 및 파트너십
바이오 프로토콜(BIO)는 폴 콜하스(Paul kolhaas) 등을 포함한 비타다오(VitaDAO)의 핵심 구성원들이 설립했습니다. 폴 콜하스는 DeSci의 선두주자 중 하나인 Molecule의 창립자이자 ceo이며 비타다오(VitaDAO)의 공동 창립자입니다.
BIO는 바이오 산업 내 주요 기업 및 연구소와 협력하고 있으며, 글로벌 바이오 연구기관 및 탈중앙화 조직과의 협력을 통해 프로젝트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BIO의 주요 특징 및 장점
- 탈중앙화 과학(DeSci): 바이오 연구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투명성과 신뢰성을 확보.
- bioDAO: 커뮤니티 참여자들이 프로젝트 자금을 공동으로 조달하고, 연구 개발 결과를 공유.
- 혁신적인 투자 기회: 바이오 산업과 블록체인의 결합으로 기존의 바이오 연구에 접근할 수 없었던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기회 제공.
- 상장 거래소: 바이오프로토콜은 2025년 1월 기준 바이낸스(Binance), 게이트아이오(Gate.io), 비트겟(Bitget) 등 주요 거래소에 상장.
투자 포인트와 전망
BIO는 바이오텍 산업에서의 블록체인 활용을 선도하며, DeSci 개념의 확산과 함께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BIO 투자의 주요 포인트입니다:
- 바이오텍 시장의 성장: 글로벌 바이오텍 시장은 연평균 10%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BIO는 이 성장의 중심에 서 있습니다.
- 기술적 독창성: DeSci를 기반으로 한 혁신적인 연구 및 자금 조달 모델.
- 초기 투자 기회: 2024년 말 런치풀과 초기 상장을 통해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으로 진입 가능.
주의 사항
모든 암호화폐 투자에는 변동성과 위험이 수반됩니다. BIO 역시 초기 단계의 프로젝트로, 가격 변동이 클 수 있으므로 신중한 투자 판단이 필요합니다.
요즘은 주목받는 트렌드를 잘 쫓아가야지만 좋은 수익을 올릴 수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 트렌드가 더욱 빠르게 변화하고 있어 따라가기 버거울 정도입니다. 이번 시즌 주목받았던 트렌드는 BRC-20 / RWA(실물자산연계토큰) / AI / 밈코인 / DeFi 코인 등을 꼽을 수 있겠습니다.
※ 용어 설명
- 락업 (Lock-up):
- 락업은 특정 기간 동안 암호화폐를 거래하거나 팔 수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주로 투자자나 팀원들이 일정 기간 동안 코인을 팔지 않도록 제한하는데 사용됩니다. 주로 ICO(Initial Coin Offering)나 상장 전에 적용됩니다.
- 절벽기간 (Cliff Period):
- 절벽기간은 일정 기간 동안 보상을 받지 않다가, 그 기간이 끝난 후에 한 번에 보상을 받는 기간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1년의 절벽기간 후에 보상이 지급되기 시작합니다.
- 선형적 베스팅 (Linear Vesting):
- 선형적 베스팅은 보상이 일정 기간에 걸쳐 균등하게 분배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6년에 걸쳐 매년 일정 비율씩 보상이 지급되는 방식입니다.
- 런치풀 (Launchpool):
- 런치풀은 새로운 암호화폐나 토큰을 상장하기 전에 투자자들이 이를 미리 구매하거나 스테이킹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주로 특정 프로젝트가 상장될 때 사용자들이 해당 프로젝트의 토큰을 미리 얻을 수 있도록 합니다.
이 용어들은 주로 암호화폐의 투자 및 배분 과정에서 자주 사용됩니다.